Tip and column 썸네일형 리스트형 Booster Draft 용어.(1) Forcing(색 강제) 드랩을 하면서 특수하게 한색을 선택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미리 아키타잎으로 덱을 구성하기 위해, 관련카드가 백 적일경우 백적으로 가기위해 일부러 옆테이블쪽으로 첫픽부터 다른 색의 파워카드를 넘겨서, 이걸 하도록 유도하는 한다거나 하는 행위입니다. 양 옆의 상대가 생각대로 유도가 되면, 양 옆에서 같은 색을 갈라먹거나 하는 상황도 벌어지게 유도 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카드를 모으는 법(처음 시작하는 분들에게..) 1 이 글은 요즘 (2012년 기준)에 통하는 이야기입니다. 그 이후는 매직 환경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기 때문에 그 이후는 나중에 코멘트를 하거나 저에게 물어봐 주시면, 성심 성의껏 대답해 드리겠습니다. 제가 매직을 다시 시작한 건 작년 2011년입니다. 이니스트라드가 막 나오고, 2012 한글판이 찍혀 나오고 있던 시점이죠. 이 때 다시 시작하려고 하니 필요한 카드들도 많고, Type 2를 하기 위해선 새로운 판은 물론이거니와, new mirrodin 블럭의 카드까지 모아야 했습니다. 아시다시피 매직은 돈을 쓰려면 몇백은 가볍게 꼴아박을 수 있는 게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같은 돈없는 사람은 절약하면서 효과적으로 카드를 모아야 했습니다. 지금부터 어떤식으로 카드를 모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맨 처음 카드.. 더보기 리미티드 랜드 비율에 관한 이야기. 오늘은 드래프트나 실덱에서 랜드 비율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려고 합니다. 지금 쓰는 글은 지금까지 겪으면서 느낀 이야기와, 매꼼수(매직은 꼼수다.)에서 참조한 내용 일반론적인 내용을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목적으로 쓰는 글입니다. 덧붙일 내용이나 비판 허용 합니다. 기본적으로 매직 리미티드는 필수적으로 40장 이상이 되어야 하며 자신이 드랩이나 실덱 포맷으로 획득한 카드를 자유롭게 이용해서 덱을 만들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40장으로 덱을 만드는데, 그 이유는 자신이 획득한 카드중에 파워 카드는 제한이 되어있고, 당연하게도 그런 카드가 쉽게 나와야 이길 수 있기 때문에, 손에 그 카드들을 집을 확률을 높이기 위해 40장으로 최대한 제한 하는 겁니다. (하지만 꼭 40장으로 해야 되는 건.. 더보기 이전 1 다음